이번 시간에는 고조선의 두 번째 시간으로 위만의 집권가 멸망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2019/06/05 - [분류 전체보기] - 인류의 출현과 진화
2019/06/11 - [분류 전체보기] - 청동기시대
위만의 집권과 멸망
기원전 5~4세기에 전국시대라는 중국의 혼란기를 틈타 많은 사람이 고조선으로 이주하였다.
이들에 의하여 고조선에 철기가 전래되었다. 이후 고조선은 청동기와 철기를 바탕으로 성장하여 기원전 4~3세기에 그 지배자가 스스로 왕이라고 칭하였다. 이 무렵 대부와 같은 관료를 두었으며, 군사적으로 중국의 연과 대결하였다.
그러나 얼마 후 고조선은 연의 장수 진개의 침력을 받아 서쪽의 넓은 영토를 잃고, 중심지를 대동강 유역에 위치한 왕험성으로 옮겼다.
기원전 3세기 말에서 2세기 초 사이의 진한 교체기에 다시 많은 사람이 고조선으로 이주하여 왔다.
이 가운데 한 사람이 위만으로, 한에서 연왕으로 임명한 노관이 흉노로 망명하자, 무리 1천여 명을 이끌고 고조선에 망명하였다.
위만은 기원전 194년에 준왕을 몰아내고 왕위를 차지했는데, 이후의 고조선을 흔히 위만조선이라고 부른다.
위만에게 쫓겨난 준왕은 남쪽으로 도망하여 한왕이 되어 한족 사회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위만조선은 비파형 동검을 발전시킨 세형동검 및 우수한 철제무기로 주변의 임둔과 진번을 정복해 복속시키고, 남쪽의 진국과 한과의 중계무역을 통하여 세력을 키워 나갔다.
한나라는 건국 후의 혼란을 수습하고 적극적인 대외팽창을 추진하였다. 이에 대응하여 고조선은 흉노와의 연합을 모색하여 한을 견제하고자 하였다. 한 무제는 대군을 보내 고조선을 공격했는데, 고조선은 위만의 손자 우거왕을 중심으로 1년 동안 완강하게 버티다가 결국 한에 의해 멸망하였다. (기원전 108)
한나라는 고조선을 멸망시킨 후 그 옛 땅에 낙랑, 진번, 임둔, 현도 등 이른바 한사군을 설치하여 지배하였다. 한사군 가운데 낙랑군은 400여 년 동안 존속하며 우리나라의 통합을 방해하였으나, 중국의 선진 문물을 전해 주어 삼국의 성립과 발전에 커다란 영향을 끼치기도 하였다.
이렇게 이번 시간에는 위만의 집권과 멸망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부여의 건국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